본문 바로가기
매일 쌓는 투자 지식의 방

과연 포렉스(외환거래) 투자자중 몇%가 돈을 잃을까? -2016년 NTU논문-

by 환율요정FX 2021. 7. 8.
728x90

안녕하세요 환율요정FX입니다.

 

예전부터 들어보셨다시피 

외환거래는 5%의 투자자만 성공할 수 있는 시장이라고 배웠고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정말 5%의 투자자만이 성공을 하고 

나머지 95%의 투자자는 실패를 하는 각박한 

성공확률을 가지고 있을까요?

 

그걸 알기 위해 

Christopher J. Davidson은 실험을 하고 

2016년에 짧은 연구결과를 내놓기도 하였는데요.

제목은:

Christopher J. Davidson 의 리서치

입니다.


2000년도가 되고 FX를 접할 수 있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또 인터넷의 보급과 MT4의 사용으로 인해 

Retail FX Trader 들이 많아지면서 

세상은 FX 붐이 불었었죠.

 

레버리지를 통해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꿈꿀 수 있고,

작은 시드를 가지고도 돈을 크게 불릴 수 있다라는 메리트를

안고 많은 분들이 포렉스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처참한 결과를 맞이하였고 

결론적으로는 성공을 하는 사람은 5%도 안된다라는 

이야기가 돌만큼 각박한 시장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과연 정말로 5%의 트레이더들만이 성공할 수 있는 시장이였을까요?

 

이 리서치 페이퍼에서는 과연 몇퍼센트의 투자자가 포렉스 시장에서

정녕 살아남는지..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할 여러가지의 

궁금증을 파훼하기 위해 연구했습니다.

 

1. 과연 얼마나 포렉스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2. 성공을 한다면 이것은 실력에 의한 것일까? 우연이 겹쳐 만들어진걸까?

3. Negative Sum Game이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4. 실패로 가는 이유

 

여기서 볼 수 있는 것은 4가지 정도로 나눠볼 수 있고,

추가적으로 제가 느낀 점에 대해서는 마지막에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1. 과연 얼마나 포렉스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2. 성공을 한다면 이것은 실력에 의한 것일까? 우연이 겹쳐 만들어진걸까?

 

16장 밖에 되지 않지만 여러가지의 실험과 연구를 통해 

과연 얼마나 포렉스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지, 그리고

성공하는 것이 과연 실력에 의한 것인지, 우연의 일치인 것인지

어느정도의 틀을 잡아주고 있습니다.

Christopher J. Davidson 의 글을 찾아보시면 PDF를 구하실 수 있습니다.

 

거두절미하고 결론적으로 위에 올려놓은 사진처럼

6개의 결과 그리고 6개의 결과를 합하여 나눈

중간 Mean 통계치를 보실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21.5%의 투자자만이 성공을 할 수 있었고,

78.5% 의 나머지 투자자들은 돈을 잃게 되었으며,

40.9%의 투자자들은 마진 콜을 당했다고 합니다.

 

더욱 웃긴것은 실제 투자자들과 AI Simulation의 

통계치인데요..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2가지로 진행이 되었고 

하나는 기본적인 알고리듬 시스템 트레이딩

(투자자들과 같은 방식으로의 투자방식)

그리고 두번째는 Binomial

(즉 랜덤하게 랜덤한 시간에 Buy or Sell 거래가 들어간 것)

 

Profitability 의 차는 

Traders = 21%

Algo Trading System = 13.5%

Random Trading System = 21.3%

로 랜덤하게 거래하는 시스템과

트레이더간의 성공할 확률이 

0.3%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는 겁니다.

 

돈을 잃을 확률 또한 비슷했구요 ㅎㅎ;;;

 

그렇기에 참.... 이게 애매한 듯 합니다.

찍어도 20% 공부를 해서 거래를 해도

성공할 확률 20%...

 

그래도 5% 에 비하면 현저하게 높은 숫자이지만...

20% 밖에 되지 않기에

투자로 성공하는 것이 아닌 성공하는 걸 가르치는

Online Class 로 성공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시장

되어버린게 아닌가 싶습니다

 

또한 75%의 투자자들은 실패를 하고 거래를 그만뒀다고 하니

가히 낙타가 바늘구멍에 들어가는거 보다 어렵다고 할만 하네요.


3. Negative Sum Game이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하면서 생각하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그것은...

SPREAD 입니다.

 

대부분 많은 분들이 SPREAD 를 걱정하지 않은 채 거래를 진행하고

실제로 SPREAD 로 인하여 돈을 벌더라도 결국

NEGATIVE Sum 게임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실제 통계치를 보더라도 Average Profit Per Trade

-$5.49 로 로스를 기록 하고 있고, 알고 시스템의 결과 또한 

비슷한 결과를 가지고 왔습니다.

 

그만큼 대부분의 분들이 꾸준한 프로핏을 챙기지 못함을 뜻하고 있고,

+-0 를 하더라도 지불해야하는 SPREAD 가 있기 때문에

로스를 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결과론적으로... 저희는 스프레드를 어느정도 염두를 해 둘 필요가 있다라고 생각이 들고,

스프레드를 생각하지 않으려면....꾸준한 돈을 벌 수 있도록 

리스크매니지먼트를 잘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4. 실패로 가는 이유

 

마지막으로 실패로 가는 이유는....

꾸준하게 돈을 벌지 못함도 있겠지만...

리스크매니지먼트에 있습니다.

 

실제로 거래를 하며 많은 분들이 SL을 TP보다 높게 잡아

이길 때보다 잃을 때 더 크게 잃는 모습을 보였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통계적으로 63%의 거래가 프로핏으로 끝났다고 하지만...

결국 계좌는 로스로 끝을 낸다는 이야기죠.


 

어떠신가요? 2016년과 현재 2021년...

과연 통계치는 달라졌을까요?

 

더 많은 투자자들이 돈을 벌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지금도 역시 돈을 버는 투자자보다 잃는 투자자가 더 많고

그 중 75%는 포렉스 마켓을 떠나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긍정적으로 생각해보면 5명중 1명은 성공을 한다는 것이고,

그 1명이 될 수 있는 기회는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패하는 이유를 찾고 성공할 수 있도록 

자신을 바꿔가는 것...

 

물론 통계적으로 랜덤하게 거래를 하는 것과 별 차이가 없을 수 있지만

실력의 차는 존재하고 우리가 투자를 성공적으로 이끌어가는 방법을

통달하게 된다면 충분히 5명중 1명의 성공하는 투자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열심히 공부하고 투자하도록 합시다!

 

리스크매니지먼트스프레드를 잘 생각하면서요 ^^

 

그러면 다음 글에서 뵙도록 하겠습니다 :)

댓글